목록2025/05/08 (5)
헤맨 만큼 내 땅

수업 목표 : 상세 기획서 작성 방법상세 기획안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하기 1. 상세 기획- 상세 기획은 무엇일까요?: 상세 기획은 프로젝트의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계획으로,프로젝트의 목표, 요구 사항, 일정, 기능 설계(명세) 등을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 상세 기획시 작성하는 기능 명세서란 무엇일까요?: 기능명세서는 각 기능을 디자인할수 상세히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기능의 목적, 동작 방식, UI 요소, 제약 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협업자가 정확히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기능 명세, 스토리 보드, 화면 설계서, 상세 기획안 등 다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기능명세'='상세기획안)협업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할 때 헷갈리면 단어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떠올려 보세요..
포스팅 목표 : 에러 케이스와 에러 케이스 작성법에러 케이스에 대해 이해하기에러 케이스 작성법 살펴보기1. 에러케이스에러케이스가 뭘까요?: 서비스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을 정의하고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명확하게 기술하는 문서 1.2 에러케이스를 작성하는 이유는- 유저 입장 : 서비스의 안정성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비스 기획자 or 개발자 : 시스템이나 서비스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 명확히 하기 위해1.3 서비스 오류 :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은 것서비스 오류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기능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이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았을 때 발생)주로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로그인, 결제, 검색 등)이..

포스팅 목표 : 에러 케이스와 에러 케이스 작성법에러 케이스에 대해 이해하기에러 케이스 작성법 살펴보기1. 에러케이스에러케이스가 뭘까요?: 서비스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을 정의하고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명확하게 기술하는 문서 1.2 에러케이스를 작성하는 이유는- 유저 입장 : 서비스의 안정성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비스 기획자 or 개발자 : 시스템이나 서비스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 명확히 하기 위해1.3 서비스 오류 :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은 것서비스 오류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기능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이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았을 때 발생)주로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로그인, 결제, 검색 등)이..

prd, ia등등 처음엔 어려웠겠지만 막상 배워보면 별거 아니다. 그냥 목적에 맞게 사용하면 되는 거고 겁먹을 필요없다.그리고 오늘 포스팅할 서비스 정책서 역시 마찬가지다. 1. 서비스 정책서란?서비스 정책서는 무엇인가요?(어떤 서비스를 만들때 기준이 필요한 내용들을 정책에 넣어서 정리해둠)서비스 개발이나 개선 과정에서 기능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구현 기준을 설정하여, 관련 팀들이 일관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 권한. 채용 진행 웹사이트에 대한 접속 권한은 스파르타 코딩클럽 전체에게 제공하며 => 접속권한은 누군가에게 차등하지 않고 모두에게 주겠다.상단메뉴 및 심사 데이터에 대한 조회, 작성권한 보유 여부에 따라 보여지는 정보가 상이하다.=> 본인팀에 채용하는 건이 아닌데 다른 팀에 보이게 안하겠..

-과제 목표상세페이지에서 장바구니 전환율을 올리기 위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UX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최종 제출물은 PRD 형태 (문제 정의 → 분석 → 가설 → 해결안)-과제 배경목표 KPI : 상세페이지 > 장바구니 담기 전환율을 상승 시키고자 함-유저마다 상품 상세페이지에서 장바구니 담기로 이어지는 경우가 모두 다름.-어떤 유저의 어떤 행동이 ‘장바구니 담기’라는 전환에 기여하는지 데이터로 파악하고자 함.-데이터로 현황을 파악한 이후엔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가설을 세우고 가설에 맞는 해결방안을 논리적으로 고민해보고자 함. -과제 일정(페르소나 선택 → 데이터 추출 → 행동 분석 → 전환 기여 요소 찾기→ 가설 도출 → 개선안 설계(PRD 작성))과제 플로우 정리1. 페르소나 선택 2. 데이터 추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