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일상 (5)
헤맨 만큼 내 땅

🚀 5월 14일까지: 서비스 기획 숙련 과정 정리1. 캠프 적응은 끝났다. 지금부터는 "달리면서 숨쉬는 법"을 배운다.📍 우리는 어디까지 왔을까? 2. 이번 숙련 강의는 무엇을 배우는가?✨ 전반적 흐름데이터를 가지고 공부를 시작한다.숙련 강의에서는 데이터 기초, 로그 기초부터 다지고 데이터 분석론까지 맛본다.GA(Google Analytics) 기초를 배우고, 이후 심화로 확장할 예정. (이번에는 기초만 다진다.)PM 실무에서 사용하는 와이어프레임, PRD 등 문서 작성법을 배운다.단순히 문서만 배우는 게 아니라, "일잘러"가 되기 위한 소프트 스킬까지 배운다.데이터 학습 이후에는 과제나 팀 과제를 진짜 팀처럼 만들며 익숙해지는 게 중요하다.프로젝트 시작할 때 필요한 킥오프 세팅 방법,PM이 되어 프..

2주차 회고: 나만 모질이저번 주, 이번 주. 뭔가 배운 게 정말 많다.아무래도 그동안엔 실무 경험 없는 대학생들이랑만 팀플을 해왔어서 그런지, 지금처럼 실무 경험이 풍부하신 분들이랑 하는 팀플은 분위기부터가 좀 다르다. ‘아, 내가 진짜 아직 많이 모자라구나’라는 걸 자주 느꼈달까.배운 게 정말 너무너무너무 많은데, 뭘 배웠냐면–– 유진님은 CS 경험을 바탕으로, 팀이 살짝 다른 방향으로 새려고 할 때마다 딱 잡아주셨다.나는 이게 바로 상황판단 능력이라고 느꼈다. 나한텐 없는 그거... 그냥 단순히 똑똑하신 게 아니라, 뭔가 리더십의 자질 같은 느낌? 내가 훗날 꿈꾸는 이상적인 어른의 모습 중 하나가, 그런 상황판단 능력과 논리로 방향을 이끄는 사람이거든.근데 유진님이 가지신 그 능력이 딱 그거다.나는..

사실 난 그닥 재능이 있던 편은 아니었다. 그러나 근성은 있었다.근성있게 노력해서 디자인 대학에 붙었고. 디자인 대학에 입학해서는 하루하루 감사하며 살았다.왜냐면 난 재능은 없었지만 적성은 맞았으니까. 재능이 없다면서 무슨 적성이냐고? 뭐,... 적성이랄게 별거있나.즐거우면 그게 적성이지. 영어공부는 밤새워 하지 못하는 내가 디자인은 사흘 밤낮을 새워 즐겁게 할수있다면 그건 적성이다. 난 그렇게 생각한다.나는 디자인을 정말 사랑했다. 하루 종일 폰트 하나, 색감 하나에 집착했고,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밤을 새우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내 작업이 완벽해질 때까지 수십 번이고 다시 손을 대며 디자인을 다듬었다. 그렇게 하면서도 즐거웠다. 자다가도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노트북으로 달려갔다. 디자인..

내일 배움 캠프 pm과정 모집 링크 : https://nbcamp.spartacodingclub.kr/pm내일 배움 캠프 오티 요약1️⃣ OT 주요 내용PM 역량: 문제 해결력, 논리적 사고, 질문하는 태도 필수강사진: 대기업 출신 PM + 수강생 출신 튜터진 (평판 좋음)학습 방식: 기획자들끼리 학습, 디자인·개발 협업 없음과정 강도: 높은 출석·과제 기준, 주 80시간 몰입 학습2️⃣ 커리큘럼 개요1~2주차: 기본 툴 학습 (Figma, SQL 등)3~4주차: PM 사고방식, 기획서(PID), 와이어프레임 작성5~6주차: 데이터 분석 기반 기획 (GA, A/B 테스트 등)7~8주차: 프레이머 활용 웹 프로토타입 제작, AI/API 연동9~10주차: 데이터 드리븐 기획, 유입·전환·리텐션 분석11주차:..

내일 배움 캠프 PM 부트캠프를 시작하며... 1. PM 트랙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3월에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학과를 졸업한 이주영입니다.디자인을 전공하면서 단순히 '예쁜 걸 디자인 하는 사람' 보다는, 기획하는 디자이너, 혹은 디자인이 되는 기획자가 되고 싶었어요. 디자인 과정을 즐기면서도 그 이전의 기획 과정이 정말 흥미로웠거든요. 지난 5년을 되돌아보니, 저는 제 자신을 이렇게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내가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능한 사람” 이 능력에 논리적 구조를 더하면 기획자가 되고, 시각적 표현을 업그레이드하면 디자이너가 될 수 있겠죠.결국 이 역량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이를 더욱 갈고 닦고 싶어서 이 부트캠프에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