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헤맨 만큼 내 땅

[내일배움캠프]내가 PM 트랙을 신청한 이유 본문

일상

[내일배움캠프]내가 PM 트랙을 신청한 이유

Ddani_ng 2025. 3. 13. 02:21

졸업 전시회 당시의 사진입니다. 참 풋풋...하하, 아직 다크서클이 남아있네요.

 

 

내일 배움 캠프 PM 부트캠프를 시작하며...

 

 

1. PM 트랙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저는 올해 3월에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학과를 졸업한 이주영입니다.

디자인을 전공하면서 단순히 '예쁜 걸 디자인 하는 사람' 보다는, 기획하는 디자이너, 혹은 디자인이 되는 기획자가 되고 싶었어요. 디자인 과정을 즐기면서도 그 이전의 기획 과정이 정말 흥미로웠거든요. 지난 5년을 되돌아보니, 저는 제 자신을 이렇게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내가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능한 사람” 

 

 

이 능력에 논리적 구조를 더하면 기획자가 되고, 시각적 표현을 업그레이드하면 디자이너가 될 수 있겠죠.

결국 이 역량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이를 더욱 갈고 닦고 싶어서 이 부트캠프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디자인이든 기획이든 어느 쪽으로 갈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기획 쪽에 좀 더 기울어져 있어 이 선택을 했고, 결과물을 만들어 실제 시장에서 평가받고 싶어서 지원하게 되었어요. UX적인 측면을 전문적으로 다루기 위한 기술을 배우는 커리큘럼이 저에게 잘 맞는다고 생각해서요. 잘 부탁드립니다!

 

 

 


 

 

 

2. 내가 이해한 기획자(혹은 생각했던 직무)는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

‘사용자 중심 문제 해결’이라고 생각해요. 저는 5년 동안 학교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고민하며 이 부분에 집중했기 때문에 잘할 수 있을 거라 자신합니다.

 

 

 


 

 

 

3. PM 업무를 경험해보셨나요? 해보셨다면 어떤 경험을 하셨는지를 작성해주시고, 아니라면 PM 업무에 대해 찾아본 것을 작성해주세요.

-

PM 업무는 직접 경험해본 적은 없어요. 다만 조사해본 바로는:

  • 서비스 기획 역량을 바탕으로 개발자, 디자이너, 마케팅 팀 등 다양한 팀과 협업하며 프로덕트의 전 과정을 관리하는 역할
  •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며 팀 간 소통을 원활히 이끌어 목표를 향해 프로덕트를 성공적으로 만드는 역할

이런 부분들이 PM의 역할이라고 이해했습니다.

 

 

 


 

 

 

4. PM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나의 강점과 연관된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혹은 보완, 개선하고 싶은 개인 역량이 있나요?

-

강점

PM 역할에서 제가 잘할 수 있는 부분은 디자인 역량과 팀원들과의 소통 능력이에요. 디자인 학과를 전공한 덕분에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디자인에 대한 이해가 깊고, 팀원들과 협업하는 데 강점이 있습니다. 또한 대학 내내 어플 기획 과제를 하며 논리적인 구조로 기획서를 작성하는 작업에 익숙해졌어요. 그래서 데이터를 제외한 기획 부분에서는 자신이 있습니다.

 

보완점

하지만 데이터 관련 지식이 부족한 점은 보완해야 할 부분이에요. PM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적극적으로 학습하여 더욱 균형 잡힌 PM이 되고자 합니다.

 

 

 


 

 

 

5. 본 코스 수료 후, 어떤 기획자(혹은 생각했던 직무)로 성장하고 싶나요?

-

사용자 경험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PM이 되고 싶어요. UX 디자인을 배우면서 ‘좋은 디자인은 단순히 예쁜 것이 아니라, 사용자를 배려하는 것’이라는 점을 깨달았어요. 앞으로도 PM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고민하고, 더 직관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를 설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저의 강점인 디자인의 시각적 소통 역량을 키우고, 이 시각적 소통 능력에 데이터를 더하기 위해 데이터 공부를 차근차근 시작할 예정입니다.

 

 

 


 

 

 

6. 본 코스 수료 후, 기획자(혹은 생각했던 직무)가 된 5년 후 목표로 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

  • 시각적 소통 역량이 뛰어나 저의 의견을 추상적 언어가 아니라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기획자
  • 데이터 기반의 논리적인 기획을 하는 기획자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기획을 하는 비전 있는 기획자가 되고 싶습니다.

 

 

 


 

 

 

 

 

 

마치는 말

PM이라는 커리어를 통해 저는 일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눈에 띄는 혁신보다는 사람들이 당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하고 익숙한 제품을 기획하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또한, 단순한 ‘기획자’가 아니라 팀원들과 함께 고민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리더가 되고 싶습니다. PM은 혼자 일하는 직무가 아니기에, 좋은 협업 문화를 만들고 팀원들과 함께 성장하는 과정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헤매는 만큼 내 땅”**이라는 말을 좋아합니다. PM은 정답이 없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직무이기에, 시행착오를 겪으며 배워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그런 태도로 끊임없이 고민하고 도전하며, 사람들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실용적인 서비스를 만들어가는 PM이 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