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서비스 기획 공부 & 취업 (42)
헤맨 만큼 내 땅

수업 목표-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기 -어떤것이 좋은 커뮤니케이션인지 학습하기-좋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PM 되기 이번에 배울 것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좋은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가진 PM이 되는 법 1. 커뮤니케이션이란?채용 공고에서 항상 커뮤니케이션을 이야기하는데, 도대체 커뮤니케이션은 뭔가요? 정보를 전달하고, 교환하며, 이해하는 과정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를 줄이고, 명확하게 의도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프로젝트의 목표와 기대 사항이 명확하게 커뮤니케이션되지 않으면,-팀원들은 무엇을 해야 할지-우선순위가 무엇인지 목표가 불명확하면 프로젝트의 진행 방향이 흔들릴 수 있으며, 이는 프로젝트 실패로 이어질 수 있음 💡 실무 엿보기 2. 좋은 커뮤니케이션 vs 나쁜 커뮤니케이션좋은..

수업 목표‘why’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기 ‘why’를 끊임없이 묻는 습관 길들이기 PM에게 Why가 중요한 이유 1. WHY?‘Why’는 무엇일까요?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이유들을 묻는 행위"왜 이 일을 해야 하는가?", "왜 이 기능이 필요한가?", "왜 이 방향이 맞는가?" 2. Why가 중요한 이유PM에게 ‘Why’가 왜 중요할까요?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며,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릴 때 필요한 사고 방식 ☝🏻 1. 문제의 근본 원인 파악"왜?"라는 질문을 반복함으로써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음ex) 프로젝트 진행 중 일정이 자꾸 밀리고 있는 상황왜 일정이 지연되는가?→ 팀원의 업무 속도가 느려서 왜 팀원의 업무 속도가 느린가?→ 팀원들이 필요한 ..

수업 목표 : 상세 기획서 작성 방법상세 기획안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하기 1. 상세 기획- 상세 기획은 무엇일까요?: 상세 기획은 프로젝트의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계획으로,프로젝트의 목표, 요구 사항, 일정, 기능 설계(명세) 등을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 상세 기획시 작성하는 기능 명세서란 무엇일까요?: 기능명세서는 각 기능을 디자인할수 상세히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기능의 목적, 동작 방식, UI 요소, 제약 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협업자가 정확히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기능 명세, 스토리 보드, 화면 설계서, 상세 기획안 등 다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기능명세'='상세기획안)협업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할 때 헷갈리면 단어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떠올려 보세요..
포스팅 목표 : 에러 케이스와 에러 케이스 작성법에러 케이스에 대해 이해하기에러 케이스 작성법 살펴보기1. 에러케이스에러케이스가 뭘까요?: 서비스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을 정의하고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명확하게 기술하는 문서 1.2 에러케이스를 작성하는 이유는- 유저 입장 : 서비스의 안정성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비스 기획자 or 개발자 : 시스템이나 서비스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 명확히 하기 위해1.3 서비스 오류 :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은 것서비스 오류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기능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이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았을 때 발생)주로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로그인, 결제, 검색 등)이..

포스팅 목표 : 에러 케이스와 에러 케이스 작성법에러 케이스에 대해 이해하기에러 케이스 작성법 살펴보기1. 에러케이스에러케이스가 뭘까요?: 서비스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을 정의하고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명확하게 기술하는 문서 1.2 에러케이스를 작성하는 이유는- 유저 입장 : 서비스의 안정성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비스 기획자 or 개발자 : 시스템이나 서비스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 명확히 하기 위해1.3 서비스 오류 :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은 것서비스 오류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기능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오류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이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았을 때 발생)주로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로그인, 결제, 검색 등)이..

prd, ia등등 처음엔 어려웠겠지만 막상 배워보면 별거 아니다. 그냥 목적에 맞게 사용하면 되는 거고 겁먹을 필요없다.그리고 오늘 포스팅할 서비스 정책서 역시 마찬가지다. 1. 서비스 정책서란?서비스 정책서는 무엇인가요?(어떤 서비스를 만들때 기준이 필요한 내용들을 정책에 넣어서 정리해둠)서비스 개발이나 개선 과정에서 기능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구현 기준을 설정하여, 관련 팀들이 일관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 권한. 채용 진행 웹사이트에 대한 접속 권한은 스파르타 코딩클럽 전체에게 제공하며 => 접속권한은 누군가에게 차등하지 않고 모두에게 주겠다.상단메뉴 및 심사 데이터에 대한 조회, 작성권한 보유 여부에 따라 보여지는 정보가 상이하다.=> 본인팀에 채용하는 건이 아닌데 다른 팀에 보이게 안하겠..

-과제 목표상세페이지에서 장바구니 전환율을 올리기 위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UX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최종 제출물은 PRD 형태 (문제 정의 → 분석 → 가설 → 해결안)-과제 배경목표 KPI : 상세페이지 > 장바구니 담기 전환율을 상승 시키고자 함-유저마다 상품 상세페이지에서 장바구니 담기로 이어지는 경우가 모두 다름.-어떤 유저의 어떤 행동이 ‘장바구니 담기’라는 전환에 기여하는지 데이터로 파악하고자 함.-데이터로 현황을 파악한 이후엔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가설을 세우고 가설에 맞는 해결방안을 논리적으로 고민해보고자 함. 과제 플로우 정리1. 페르소나 선택 2. 데이터 추출 3. 데이터 분석 4. 문제 정의 5. 가설 수립 6. 개선안 설계 7. PRD 작성오늘 할일 (데이터 추출 중간 ..

수업 목표 : 정보 구조도(IA)의 의미와 작성법-정보 구조도(IA)의 목적에 대해 이해하기 -정보 구조도(IA) 작성하는 법 살펴보기 기획 관련된 pm 업무에서는 -정답이 없고-문서를 작성할때는 목적을 파악후 목적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IA역시 이 포스팅에서 말한대로 반드시 작성할 필요없다.(목적에 맞게만 작성되면 된다) 1. 정보 구조도(IA, Information Architecture)란? 정보 구조도란 무엇인가요?:웹사이트나 앱에서 어떤 정보를 어디에 배치하고 연결할지 설계하는 작업** 건축설계 사무소에서 설계도 그리듯, 앱이나 프로덕트의 서비스 쌓아올리는 과정앱 만들기 전에 기획자/디자이너/개발자 모두가 ‘이 앱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이해해야 하는데, 그걸 시각적으로 정리한 ..

수업 목표 : 요구사항 분석 및 정의서 작성법-요구 사항을 분석하는 과정을 학습하기 -PRD 작성법 학습하기 1. 요구사항 분석 및 요구사항 정의서(PRD)요구사항 분석은 어떤 작업을 의미하며 요구사항 정의서(PRD)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요구사항만 분석해서 문서화 시키는 것요구사항 : 이거 해줘!요구사항 분석 : 이...요구사항이... 뭘 해달라는거야? : 요구사항 분석은 프로젝트나 제품 개발의 핵심 과정으로, 개발팀이 어떤 제품을 만들 것인지를 명확히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주로 PM이 개발자에게 " 이거 만들어줭~!" 하는 단계.-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문서화하여- 각 팀(개발, 디자인, QA 등)이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작업할 수 있도록 공유합니다.PRD는 요구사항을 체..

수업 목표회고의 중요성에 대해 학습하기 회고 진행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1. 회고란?**회고가 중요하다는데, 회고란 무엇일까요?회고는 팀의 작업 과정, 의사소통, 도전 과제, 성공적인 점 등을 되돌아보고 어떻게 더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나누는 시간입니다.>>다음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 깊이있게 공유하게된다. 2. 회고가 중요한 이유: 학습, 개선회고는 단순히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활동을 넘어, 무엇이 잘 되었고, 어떤 부분이 부족했는지, 왜 그랬는지를 근본적으로 분석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실패에서 배우기 : 잘못된 결정이나 실패한 부분을 회고하면서 실수에서 교훈을 얻고, 다음 프로젝트에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성공을 반복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