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헤맨 만큼 내 땅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 본문

서비스 기획 공부 & 취업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

Ddani_ng 2025. 3. 31. 20:08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

PM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

PM은 전략이랑 실행을 통해 프로덕트를 성장시키는 사람이다. 핵심은 전략적 사고와 실행력! 사용자가 원하는 가치를 제공하면서도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 게 목표다.

근데 PM 직무가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는, 회사마다 다르고 맡은 프로덕트마다 역할이 천차만별이기 때문. 같은 PM이라도 회사에 따라 완전 다른 일을 할 수도 있다. 그래서 PM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직군의 특성을 잘 파악해야 한다.

이번 챕터에서는 PM의 직군을 여러 기준으로 나눠서 이해해보자!

 


 

 

분류기준 분류1 분류2    
고객 내부 프로덕트 외부 프로덕트    
비지니스 모델 b2c b2b    
도메인 프론트 백엔드    

 

해당 분류가 100% 절대적인 건 아니다.

 

PM 직군 분류 기준

1. 회사 종류

1.1 인하우스 vs 에이전시

인하우스 PM (우리 회사 프로덕트 담당) 에이전시 PM (클라이언트 프로덕트 담당)
  • 장기적인 비전을 세울 수 있음 (10년, 20년 단위도 가능)
  • 사용자 피드백 &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장 점유율 고민
  • 필요 역량: 데이터 기반 문제 정의 및 개선 경험
  • 장점: 장기적인 성과 추구 가능
  • 클라이언트 요구사항에 맞춰 단기 프로젝트 수행
  • 클라이언트와의 소통 능력이 중요 (요구사항 파악 필수!)
  • 도메인이 바뀔 때마다 빠르게 적응해야 함
  • 필요 역량: 프로젝트 매니징 능력
  • 장점: 다양한 프로덕트 경험 가능

 

인하우스 vs 에이전시는 개인 성향에 따라 선택! 하지만 에이전시는 프로젝트 매니징에 가깝고, 인하우스는 프로덕트 매니저 역할이 더 확실함.

1.2 스타트업 vs 대기업

스타트업 PM 대기업 PM
  • 다양한 업무를 광범위하게 맡음 (한 명이 다 함)
  • 의사 결정 속도가 빠름
  • 특정 영역에 집중 (검색팀, 결제팀, 광고팀 등으로 나뉨)
  • 여러 승인 과정 필요 → 시간 오래 걸림

다만 이 예시가 무조건적인 건 아닌게,

예를 들어, 배달의 민족(대기업)에서 초기 검색 기능을 기획할때 스타트업처럼 자체적으로 애자일하게 팀내에서 프로세스를 돌리며 진행하다가,  어느 정도 성장하고 나서야 해당 프로젝트를 검색팀으로 인계해 본격적으로 따로 맡게 됨.

이렇듯 스타트업과 대기업 방식이 무조건 정해진 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이런 차이가 있음.

 

결론: 내가 어떤 역할을 좋아하는지에 따라 취업 준비 & 실무 대비!


2. 내부 프로덕트 vs 외부 프로덕트

내부 프로덕트 (기업 내부용)

외부 프로덕트 (일반 사용자 대상)

  • 출퇴근 관리 시스템, 사내 데이터 분석 대시보드 등
  • 사용자는 사내 직원 → 피드백을 직접 받을 수 있음
  • 성과 측정 지표: 작업 효율성 증대
  • 고객이 외부 사용자 (B2C, B2B)
  • 직접 데이터를 분석해서 고객의 소리를 들어야 함
  • 성과 측정 지표: 매출, 사용자 수, 고객 만족도, 시장 점유율

 

 

토스 사례

  • 인터널 PM: 내부 직원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역할
  • 익스터널 PM: 외부 고객을 대상으로 프로덕트 기획

해당 용어들은 토스내에서 쓰는 용어들이지 일반적인용어는 아닙니다. 그냥 토스내 이런 직급들이 있는 것처럼 실제 기업에서도 내부프로젝트용 pm, 외부 프로젝트용 pm 이렇게 나뉜다는 걸로 아시면 될 듯합니다!


3. B2C vs B2B

B2C (기업 → 소비자)

B2B (기업 → 기업)

  • 예시: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아마존
  • 특징: 빠른 사용자 경험, 피드백 신속 반영
  • 예시: 오라클, AWS, 슬랙
  • 특징: 고객사의 비즈니스 문제 해결이 목표, 직접 영업 필요

 

배달의 민족 사례

  • B2C: 배민 앱으로 주문하는 고객
  • B2B: 배민에 입점한 사장님 (계약 승인 시스템, 가게 관리 기능 등 제공)

4. 프론트 vs 백엔드 PM

프론트 pm 백엔드 pm
사용자 눈에 보이는 UI/UX 중심 결제 시스템, 추천 로직, CMS 등 비가시적 기능 담당

 

백엔드 PM ≠ 인터널 PM! 내부용 시스템을 만드는 게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기능을 맡을 수도 있음.


중요한 포인트 정리!

  • PM의 역할은 회사, 프로덕트에 따라 완전히 다름
  • 내가 가고 싶은 회사의 PM 역할이 뭔지 잘 파악해야 취업 준비가 수월해짐
  • 인하우스 vs 에이전시, 스타트업 vs 대기업, B2C vs B2B 등 내 성향에 맞는 선택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