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맨 만큼 내 땅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 본문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
PM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
PM은 전략이랑 실행을 통해 프로덕트를 성장시키는 사람이다. 핵심은 전략적 사고와 실행력! 사용자가 원하는 가치를 제공하면서도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는 게 목표다.
근데 PM 직무가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는, 회사마다 다르고 맡은 프로덕트마다 역할이 천차만별이기 때문. 같은 PM이라도 회사에 따라 완전 다른 일을 할 수도 있다. 그래서 PM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직군의 특성을 잘 파악해야 한다.
이번 챕터에서는 PM의 직군을 여러 기준으로 나눠서 이해해보자!
분류기준 | 분류1 | 분류2 | ||
고객 | 내부 프로덕트 | 외부 프로덕트 | ||
비지니스 모델 | b2c | b2b | ||
도메인 | 프론트 | 백엔드 |
해당 분류가 100% 절대적인 건 아니다.
PM 직군 분류 기준
1. 회사 종류
1.1 인하우스 vs 에이전시
인하우스 PM (우리 회사 프로덕트 담당) | 에이전시 PM (클라이언트 프로덕트 담당) |
|
|
인하우스 vs 에이전시는 개인 성향에 따라 선택! 하지만 에이전시는 프로젝트 매니징에 가깝고, 인하우스는 프로덕트 매니저 역할이 더 확실함.
1.2 스타트업 vs 대기업
스타트업 PM | 대기업 PM |
|
|
다만 이 예시가 무조건적인 건 아닌게,
예를 들어, 배달의 민족(대기업)에서 초기 검색 기능을 기획할때 스타트업처럼 자체적으로 애자일하게 팀내에서 프로세스를 돌리며 진행하다가, 어느 정도 성장하고 나서야 해당 프로젝트를 검색팀으로 인계해 본격적으로 따로 맡게 됨.
이렇듯 스타트업과 대기업 방식이 무조건 정해진 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이런 차이가 있음.
결론: 내가 어떤 역할을 좋아하는지에 따라 취업 준비 & 실무 대비!
2. 내부 프로덕트 vs 외부 프로덕트
내부 프로덕트 (기업 내부용) |
외부 프로덕트 (일반 사용자 대상) |
|
|
토스 사례
- 인터널 PM: 내부 직원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역할
- 익스터널 PM: 외부 고객을 대상으로 프로덕트 기획
해당 용어들은 토스내에서 쓰는 용어들이지 일반적인용어는 아닙니다. 그냥 토스내 이런 직급들이 있는 것처럼 실제 기업에서도 내부프로젝트용 pm, 외부 프로젝트용 pm 이렇게 나뉜다는 걸로 아시면 될 듯합니다!
3. B2C vs B2B
B2C (기업 → 소비자) |
B2B (기업 → 기업) |
|
|
배달의 민족 사례
- B2C: 배민 앱으로 주문하는 고객
- B2B: 배민에 입점한 사장님 (계약 승인 시스템, 가게 관리 기능 등 제공)
4. 프론트 vs 백엔드 PM
프론트 pm | 백엔드 pm |
사용자 눈에 보이는 UI/UX 중심 | 결제 시스템, 추천 로직, CMS 등 비가시적 기능 담당 |
백엔드 PM ≠ 인터널 PM! 내부용 시스템을 만드는 게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기능을 맡을 수도 있음.
중요한 포인트 정리!
- PM의 역할은 회사, 프로덕트에 따라 완전히 다름
- 내가 가고 싶은 회사의 PM 역할이 뭔지 잘 파악해야 취업 준비가 수월해짐
- 인하우스 vs 에이전시, 스타트업 vs 대기업, B2C vs B2B 등 내 성향에 맞는 선택이 중요함!
'서비스 기획 공부 &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프케어 도메인 PM이란? (마이루틴 분석) (6) | 2025.04.11 |
---|---|
프로덕트 개발 과정별 PM의 역할 (1) | 2025.04.01 |
애자일 실전편 (스크럼) (2) | 2025.04.01 |
애자일 이론? (1)-이론적 경험 (0) | 2025.04.01 |
PM의 핵심 역량은 무엇일까? (3)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