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아티클 분석 (13)
헤맨 만큼 내 땅

[제품을 성공시키는 프로덕트 매니저의 비밀] 도서 참고"금도끼랑 은도끼 둘 중 뭐가 좋음?"옛날에 한 나무꾼이 금도끼를 잃어버렸어. 산신령은 그 모습을 보고 안타까워하며 물속에서 나타났지. 산신령이 금도끼를 다시 만들어 주려 했어. 근데 문득 궁금해졌어.👴 "음? 금도끼는 물러서 나무 자르기 불편하지 않나? 은도끼가 나을거같은데?"그래서 실험을 해보기로 했어. 주변 마을의 나무꾼들을 불러모아 두 그룹으로 나눈 다음 각각 다른 도끼를 나눠줬지.🟢 A그룹 (컨트롤 그룹): 금도끼를 받은 나무꾼들🔵 B그룹 (테스트 그룹): 은도끼를 받은 나무꾼들나무꾼들은 일정 기간 동안 주어진 도끼로 나무를 벨 것을 요청받았어. 그리고 시간이 지난 후, 산신령은 두 그룹의 결과를 비교했지.📊 실험 결과: ✅ 금도끼를 ..
OKR → 스프린트 → 스크럼(스프럼) 순서로 점점 더 구체화된 실행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OKR: "우리 분기 목표는 이거야!" ← 전략 목표스프린트: "이번 주에 할 일은 이거야!" ← 실행 단위스크럼(Scrum): "이렇게 일하자!" ← 협업 방식 PM은 OKR과 스프린트에서 무슨 역할을 할까?pm은 팀의 OKR을 만들고, 스프린트의 전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한다.이번 분기(3개월)에 어떤 목표(OKR)을 정할지 주도적으로 우리팀에 필요한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해야하며, 그 이후 1주에서 2주단위의 설정한 OKR을 달성하기 위한 스프린트를 팀원들과 설정하고 분배하는 전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한다. 이 모든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에 가장 빠르게 문제를 인식하고 주도적으로 가설을 설정하고,그..

OKR에 대한 세 줄 요약:1️⃣ OKR(Objectives & Key Results): 목표(Objective)와 핵심 결과(Key Results)를 설정해 목표 달성을 측정하는 시스템.2️⃣ **목표(Objectives)**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핵심 결과(Key Results)는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실행 계획(Initiatives)는 "무엇을 할 것인가?"로 구성됨.3️⃣ KPI와의 차이: KPI는 성과 측정에 집중하지만, OKR은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 과정까지 포함함. 시작말부트캠프에서 공부하라고 추천해준 링크들이 있다. 하지만 나는 그 자료들만으로 공부할 수 없는 나만의 이유가 있다.사실, 부트캠프 시작 전… 이 책을 사놓고 단 한 번도 펼쳐보지 않..